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86

확률변수 (Random vairable), 확률분포 (Probability distribution) 정리, 공식, 특징 안녕하세요, HELLO 표본공간의 값을 실함수로 표현한 것을 확률변수 (random variable)라고 하며, 확률변수에서 표본공간의 값에 대한 확률을 표시한 것을 확률분포 (probability distribution)라고 합니다. 오늘은 확률변수 (random variable)과 확률분포 (probability distribution)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CHAPTER 1. '확률변수, 확률분포' 선행 지식 CHAPTER 2. '확률변수 (probability variable)' 정리 CHAPTER 3. '확률분포 (probability distribution)' 정리 CHAPTER 1. '확률변수, 확률분포' 선행 지식 '확률변수, 확률분포'에 앞서서, '확률 (probability)'.. 2022. 1. 14.
독립 사건 (Independent event) 정리, 공식, 특징 안녕하세요, HELLO 사건 A가 일어나는 것에 상관없이 사건 B가 일어날 확률이 일정할 때, A가 B에 영향을 안 주고 B가 A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두 사건 A, B는 서로 독립이라 하고, 서로 독립인 두 사건을 독립 사건 (Independent events)이라고 합니다. 독립 사건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CHAPTER 1. '독립 사건 (Independent event)' 선행 지식 CHAPTER 2. '독립 사건 (Independent event)' 정리 CHAPTER 3. '독립 사건 (Independent event)' 공식 및 특징 CHAPTER 1. '독립 사건 (Independent event)' 선행 지식 '독립 사건'에 앞서서, '확률'과 '조건부 확률'에 대해 내용 정리가.. 2022. 1. 14.
[연구] R&D 개발 지원_2022년 연구개발서비스 바우처 사업 시행계획 공고 안녕하세요, HELLO 이번에 '한국연구산업협회'에서 '2022년 연구개발 서비스 바우처 사업'을 통해 '중소ㆍ중견기업의 연구산업 시장 확대 및 서비스 제공 역량 강화'를 위해 스타트업, 벤처 등 신규 기업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2-01-12 ~ 2022-01-21' 모집 기간인 '2022년 연구개발서비스 바우처 사업'을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 연구개발서비스 바우처 사업'_KEY POINT 사업명 2022년 연구개발서비스 바우처 사업 주관기관 한국연구산업협회 지원기간 2022-01-12 ~ 2022-01-21 지원대상 자체 R&D를 수행하는 중소ㆍ중견기업과 전문연구사업자의 컨소시엄 지원사항 과제당 최대 100백만원 지원 특이사항 중소기업, 중견기업 그리고 전문연구사업자와의 '컨소시엄'.. 2022. 1. 14.
[START] 스타트업 1월 14일(금)_창업 뉴스레터 (101_DAILY) 안녕하세요, HELLO 오늘은 '2022년 1월 14일(금)' 뉴스레터를 통해 스타트업 정책, 지원사업 등 최신 내용을 '접수기간', '지원대상', '지원사항' 등 핵심 사항만 요약해서 전달해드립니다. '2022년 1월 14일(금)' 정부지원 사업은 총 30개입니다. 그리고 작성방법, 주의사항 등 세부적으로 검토한 사업에 대해서는 'START_101'의 '작성방법' 링크를 클릭해서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TART] 스타트업 1월 14일 101_DAILY 내용 사업명 LG소셜캠퍼스 2022년 1차 입주기업 모집 START 접수기간 2022-01-07 ~ 2022-01-21 지원대상 관련 법 및 시행령/시행지침에 입각한 사회적경제기업 지원사항 시설·공간·보육 사업공고 https://me2.do/5.. 2022. 1. 14.
[R] 막대 차트, 막대 그래프 (Bar plot) 그리기 안녕하세요, HELLO 범주형 데이터를 살펴볼 때 사용되는 막대 차트, 막대그래프 (barplot)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막대 차트는 범주형 데이터의 값을 막대 높이로 표현함으로써 범주 간 차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barplot 함수를 활용해서, 막대 차트의 개념과 코드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STEP 1. '막대 차트, 막대 그래프 (barplot)' 개념 STEP 2. '막대 차트, 막대 그래프 (barplot)' 코드 설명 STEP 1. '막대 차트, 막대 그래프 (barplot)' 개념 막대 차트(bar chart), 막대그래프(bar graph), 바 그래프(bar graph)는 높이와 길이를 지닌 직사각형 막대로 범주형 데이터를 표현하는 차트나 그래프를 말합니다. 막대 차트.. 2022. 1. 13.
조건부 확률 (conditional probability) 정리, 공식, 구조 안녕하세요, HELLO 조건부 확률은 원래의 확률 함수를 P라고 할 때, 확률 실험에서 새로운 정보 또는 조건(A)이 추가되었을 때, 사건 B의 확률을 P(B|A)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새로운 조건 (condition) 또는 사건 (event)가 발생하여, 새로운 표본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한 확률인 조건부 확률 (conditional probability)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CHAPTER 1. '조건부 확률 (conditional probability)' 선행 지식 CHAPTER 2. '조건부 확률 (conditional probability)' 정리 CHAPTER 3. '조건부 확률 (conditional probability)' 공식 및 구조 CHAPTER 1. '조건부 확률' 선행.. 2022. 1. 13.
확률 (Probability) 정리, 공식, 구조 안녕하세요, HELLO 확률(Probability)은 특정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나타내는 비율로, 0과 1사이로 1을 넘을 수 없고, 음수가 될 수 없습니다. 확률 1은 사건이 항상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고, 확률 0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오늘은 확률(Probability)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CHAPTER 1. '확률' 정리 CHAPTER 2. '확률의 공리적 정의' 정리 CHAPTER 1. '확률' 정리 1. 확률의 고전적 정의 확률을 정의하는 역사적인 방법은 동전 던지기, 주사위 등처럼 유한한 표본공간에서, 가능한 모든 실험 결과들이 확률로 나타나는 경우를 뜻합니다. 고전적 정의에 따라 사건 A의 확률을 고전적 확률이라고 하며,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표본공간에 .. 2022. 1. 13.
[PYTHON] 폴더/파일 하위 디렉토리 복사 및 동기화 (os, shutil, sync) 안녕하세요, HELLO 이번에는 파이썬을 활용해서 폴더/파일을 복사하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os 모듈을 활용해서 폴더에 접근하여, shutil를 이용해 폴더/파일을 복사합니다. 그리고 원본 폴더와 복사본 폴더를 비교하여, 누락된 폴더와 파일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폴더 동기화(sync)를 진행합니다. 아래에서 각 절차별로 소스 코드와 함께 설명해보겠습니다. STEP 1. Import library STEP 2. 폴더/파일 저장 STEP 3. 폴더/파일 개수 확인 STEP 4. 누락된 폴더/파일 업데이트 STEP 5. 소스코드 STEP 1. Import library 본격적인 실습에 앞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불러오겠습니다. dirsync의 경우는 설치가 안 되어있는 경우, pip install dir.. 2022. 1. 13.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 역삼각함수 정리, 공식, 구조 안녕하세요, HELLO 오늘은 k-mooc에 업로드된 "미적분학 (성균관대학교 수학과 채영도 교수님)"에서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 역삼각 함수'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 역삼각 함수' 개념과 정의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STEP 1. '함수 (function)' 선행 지식 STEP 2. '지수함수 (exponential function), 로그함수 (log function)' 개념 STEP 3. '삼각함수 (trigonometric function), 역삼각함수 (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 개념 STEP 1. '함수 (function)' 선행 지식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 역삼각함.. 2022.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