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ROGRAMMING125

[Leetcode] 리트코드 활용법 및 공부법 안녕하세요, HELLO 비전공자로서 데이터 사이언스 대학원에 합격하고 나서, 기초 지식을 쌓기 위해 퇴사하고 수학, 프로그래밍, 통계 등 선행 과목을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데이터 분석(data analyst) 분야로 직장을 살펴보면서 인터뷰를 진행하니, sample data를 통해 데이터 분석 과제와 더불어 알고리즘, SQL 검증 등을 위해 코딩 테스트를 부단히 받게 되었습니다. 알고리즘 공부 및 코딩 테스트를 대비하기 위해 대표적인 알고리즘 풀이 사이트인 'Leetcode'를 통해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그동안 공부하면서 정리한 Leetcode 활용법에 대해서 공유하려고 합니다. STEP 1. 'Leetcode' 설명 STEP 2. 'Leetcode' 공부 방법 STEP 1. .. 2022. 3. 26.
[PYTHON] numpy.random.randn (NumPy 난수) 안녕하세요, HELLO PYTHON에서 데이터 분석을 할 때 기초 라이브러리로 사용되는 Nump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umPy는 수학, 과학 연산을 위한 파이썬의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패키지이며, 오늘은 Numpy에서 난수 생성 함수인 random 모듈에서 표준 정규분포(Standard normal distribution)를 만드는 randn 함수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STEP 1. 'numpy.random.randn' 개념 STEP 2. 'numpy.random.randn' 설명 STEP 1. 'numpy.random.randn' 개념 random.randn 함수는 표준정규분포 (Standard normal distribution)로부터 샘플링된 무작위 난수를 반환합니다. Return.. 2022. 2. 28.
[PYTHON] numpy.random.randint (NumPy 난수) 안녕하세요, HELLO PYTHON에서 데이터 분석을 할 때 기초 라이브러리로 사용되는 Nump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umPy는 수학, 과학 연산을 위한 파이썬의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패키지이며, 오늘은 Numpy에서 난수 생성 함수인 random 모듈에 randint 함수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STEP 1. 'numpy.random.randint' 개념 STEP 2. 'numpy.random.randint' 설명 STEP 1. 'numpy.random.randint' 개념 random.randint() 함수는 최소값 이상, 최대값 미만 [최소값, 최대값)의 범위에서 임의의 정수를 만듭니다. Return random integers from low (inclusive) to high (.. 2022. 2. 27.
[PYTHON] numpy.random.rand (NumPy 난수 random number) 안녕하세요, HELLO PYTHON에서 데이터 분석을 할 때 기초 라이브러리로 사용되는 Nump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umPy는 수학, 과학 연산을 위한 파이썬의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패키지이며, 오늘은 Numpy에서 난수 생성 함수인 random 모듈에rand 함수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STEP 1. 'numpy.random.rand' 개념 STEP 2. 'numpy.random.rand' 설명 STEP 1. 'numpy.random.rand' 개념 random.rand() 함수는 0 이상 1 미만 [0, 1) 범위의 난수 array를 생성합니다. Create an array of the given shape and populate it with random samples from a.. 2022. 2. 27.
[PYTHON] NumPy 수학 연산(사칙연산) 정리 안녕하세요, HELLO python에서 데이터 분석을 할 때 기초 라이브러리로 사용되는 Nump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umPy는 수학, 과학 연산을 위한 파이썬의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패키지이며, 오늘은 Numpy의 기본 수학 연산 함수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numpy.add : Array 단위로 덧셈합니다. numpy.subtract : Array 단위로 뺄셈합니다. numpy.multiply : Array 곱셈합니다. numpy.divide : Array 단위로 나눗셈을 합니다. numpy.true_divide : Array 단위로 나눗셈을 합니다. numpy.floor_divide : Array 단위로 나눗셈의 몫('//')을 반환합니다. numpy.remainder : Array 단위.. 2022. 2. 18.
[PYTHON] Numpy library 개념, 정리, 설명 안녕하세요, HELLO 이번엔 python에서 데이터 분석을 할 때 기초 라이브러리로 사용되는 Numpy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umPy는 수학, 과학 연산을 위한 파이썬의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패키지이며, Numerical Python의 합성어로서, 일반적으로 ‘넘파이’라고 읽습니다. STEP 1. 'Numpy library' install, import STEP 2. 'Numpy library' 기초 STEP 1. 'Numpy library' 개념 numpy에서는 기본적으로 array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하며 연산합니다. array는 행렬(matrix)로 생각하면 됩니다. numpy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설치 후, import해야 합니다. 코드에서 보다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as np를 붙.. 2022. 2. 16.
[PYTHON] 사칙연산을 위한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 정리 안녕하세요, HELLO 오늘은 파이썬에서 사칙연산에 사용되는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산술 연산자에는 더하기, 빼기, 곱셈, 나눗셈에 따른 연산이 해당됩니다. STEP 1.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 종류 STEP 2.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 설명 STEP 1.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 종류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 설명 (Description) 예시 (Example) + 더하기 a+b = 5 - 빼기 a-b = 4 * 곱셈 a*b = 20 ** 제곱 a**b = 16 / 나누기 b/a = 2.0 // 몫 - 나누기 연산 후 .. 2022. 2. 15.
[R] is.na, complete.cases, na.omit 결측치 확인, 수정, 제거 안녕하세요, HELLO 데이터 분석에서 결측치는 분석 결과에 왜곡, 오류 등을 발생할 수 있기에 수정, 대체, 삭제 등의 전처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결측치는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오류, 무응답 혹은 의미 없는 값 그리고 수학적으로 계산이 불가능한 값 등이 해당됩니다. 오늘은 결측치를 R에서 확인, 수정 그리고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STEP 1. '결측치' 개념 STEP 2. '결측치' 확인 STEP 3. '결측치' 처리 STEP 1. '결측치' 개념 결측치는 분석 결과에 왜곡, 오류 등을 발생할 수 있기에 수정, 대체, 삭제 등의 전처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결측치는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오류, 무응답 혹은 의미 없는 값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결측치를 아래처럼 정리해봤습니다. .. 2022. 1. 29.
[R] getwd, dir, setwd_작업 디렉토리, 작업 경로 확인, 지정하기 안녕하세요, HELLO 작업 경로(working directory)는 데이터 저장 또는 불러올 때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로를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경로를 확인, 지정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함수는 getwd, setwd, dir와 같은 함수가 있습니다. getwd() 함수는 작업 공간의 경로를 확인하는 함수이며, setwd() 함수는 작업 공간의 경로를 지정하는 함수입니다. 오늘은 작업 경로,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확인하고 지정하는 함수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STEP 1. 'getwd() 함수' 설명 STEP 2. 'setwd() 함수' 설명 STEP 1. 'getwd() 함수' 설명 getwd 함수는 현재 작업 경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dir 함수는 현재 작업 경로로 .. 2022. 1. 29.
반응형